아토피피부염이란?

아토피피부염은 복합적인 유전적, 환경적 원인으로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기면서 피부 깊은 곳에 있는 기저 염증이 신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만성적인 질환입니다.1 아토피피부염은 영유아기와 소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피부질환으로 매우 심한 가려움증과 재발과 지속을 반복하는 피부염증이 생깁니다.2

아토피피부염은 심할 경우 무릎 뒤, 발목, 발, 팔꿈치 안쪽, 얼굴, 목, 손, 손목 등 온 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극심한 가려움증, 발진, 건조증, 발적, 부스럼, 진물 등을 동반하며, 출혈, 균열, 이차감염 등을 야기합니다.3,4 악화기에 접어들면 발적, 부종, 수포, 삼출, 박리와 같은 급성 병변이 나타나며,5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에게 1년 중 30% 이상 악화기가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

아토피피부염이란?


아토피피부염의 주요 증상 및 특징7

병변

가려움증

낮아진 삶의 질

수면 방해

누적된 일상 영향

가족 영향

아토피피부염은 환자의 대인 관계, 사회생활, 정서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노출된 부위에 있는 피부 질환의 경우 정신적인 문제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8



아토피피부염의 유병 인구

성인 중 아토피피부염 환자 유병률은 2~10%로 확인되며,5 국내에선 소아, 청소년의 약 7%, 18세이상에서는 약 1% 정도의 유병율이 보고되고 있습니다.8 최근 늘고 있는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약 85%는 어린 시절부터 발병하며,2 중증의 경우 성인이 될 때까지 재발 및 지속됩니다.10 소아에서 발생한 아토피피부염이 사춘기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는 40~6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1



국내 소아 및 청소년에서 연령대별 아토피피부염의 유병율9

12~23개월

26.5%

6세

7.6%

12세

3.4%

18세

2.4%


* 위 통계는 소아, 청소년, 성인 환자들의 대표연령에 대한 유병율을 의미하며, 국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및 보고되었던 문헌을 참고하였습니다.



아토피 행진(Atopy march)

일반적으로 소아의 아토피피부염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으로 이어지는 아토피 행진(Atopy march)의 초기 단계일 수 있습니다.12



References: 1. Clark C. Clinical Pharmacist. 2010;54(3);285-289. 2. Noda S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5 Feb;135(2):324-336. 3. Simpson EL et al. J Am Acad Dermatol. 2016 Mar;74(3):491-498. 4. National Heath Service (NHS). available online: https://www.nhs.uk/conditions/atopic-eczema/symptoms/ Accessed: Dec 8, 2021. 5. Bieber T. Ann Dermatol. 2010 May;22(2):125-137. 6. Zuberbier T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6;118(1);226-232. 7. Boguniewicz M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2017;5:1519-1531. 8. Yun YH.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0;23(1): 199-214. 9. Yu JS et al. J Korean Med Sci. 2012 Jun;27(6):681-685. 10. Garmhausen D, et al. Allergy 2013;68:498–506. 10. Yun YH.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11. Wüthrich B. Ann Allergy Asthma Immunol. 1999 Nov;83(5):464-470. 12. Bieber T. Ann Dermatol. 2010;22:125–137. 13. Czarnowicki T,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7;139(6):1723-1734.